본문 바로가기
특수|특이|희귀 동물/레오파드게코

레오파드게코 브리딩 (2)

by 흔한 학생 2020. 7. 23.
반응형

산란과 부화

한 번에 품는 알

레오파드게코는 브리딩 기간 중 보통 다수의 알을 품습니다. 너무 어리거나 늙은 암컷의 경우, 하나의 알을 품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어린 게코는 첫 해에 1~3개의 알을 품습니다. 성체가 되면 알을 5개까지 품습니다. 동물들이 최적의 조건에 놓이도록 노력하는 브리더들의 개체는 1년에 8개의 알을 품기도 합니다. 브리딩 최고치를 찍고 몇 년 후 나이가 많은 레오파드게코가 낳는 알은 점차 적어지고 알의 상태도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심지어 완전히 브리딩을 멈추기까지 합니다.

 

 

산란

암컷 레오파드게코가 산란에 가까워졌을 때 알은 복부를 통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브리더들은 알을 모으기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하나는 간단히 사육장을 세팅하는 것입니다. 은신처 안쪽을 축축해지도록 매일 습하게 유지하고 하루에 한 두번 정도 알을 낳았는지 은신처 안팎을 확인합니다.

또 다른 브리더들은 산란장을 만드는 것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산란장은 질석이나 모래로 반정도 채운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습도는 바닥이 질척하지 않을정도로 습하게 유지하면 됩니다. 뚜껑이 있는 용기라면 암컷이 쉽게 드나들 수 있을만큼 충분히 커야합니다. 용기측면의 습한 층 바로 위에 구멍을 뚫으면 됩니다. 항상 그런것은 아니지만 주로 암컷이 산란 장소로 산란장을 택할 것입니다. 이 방법의 이점은 암컷이 산란장에 알을 낳는다면 알이 쉽게 마르지 않을 것입니다. 또 알을 위한 환경을 빠르게 마련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알은 부드럽고 끈적거립니다. 유정란은 빠르게 단단해지고 두껍고 가죽같고 분필처럼 하얀 막으로 덮입니다. 무정란은 얇고 부드러운 막으로 덮이고 불어납니다.

 

부화

적절한 부화를 위해서 레오파드게코의 알은 대기에서 수분을 적절히 흡수해야합니다. 높은 습도는 알을 무겁게 만들것이고 습도가 불필요하게 높은 인큐베이터에서는 높은 압력과 함께 알에 곰팡이가 필수도 있습니다. 이때 알 껍질은 펴지고 반투명해집니다.

알을 부화시킬 때 한 가지 흔한 방법은 플라스틱 신발상자나 스웨터 보관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역시 수분을 머금은 질석이나 질석과 펄라이트를 1:1비율로 깔아주면 인큐베이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수분은 바닥재와 물의 무게 각 6:4 비율로 맞추는 것입니다. 많은 브리더들은 용기에 너무 젖지 않을 정도로 축축할 때까지 물을 추가하거나 손으로 섞습니다. 알을 한 쪽에 놓고 땅 속에 반쯤 묻습니다. 병뚜껑과 같은 작은 물그릇을 용기에 넣어 상대습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뚜껑은 충분히 느슨해질 수 있습니다. 공기 흐름이 있다면 하지만 만약 주기적으로 용기를 열고 알의 상태를 체크하지 않을 예정이라면 통풍을 위해 용기 각 측면의 위쪽에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뚫어야합니다.

 

인큐베이터

부화의 다른 방법에는 병아리 인큐베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는 수중히터를 이용해 인큐베이터를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 인큐베이터를 만들기 위해서 우선 아쿠아리움의 바닥에 히터를 두고 물을 0.5인치에서 2인치 정도 채웁니다. 물 위에 인큐베이터를 세팅하기 위한 플랫폼을 만듭니다. 이때 여러 물품을 이용할 수 있는데 몇몇은 벽돌위에 철망(welded wire fencing)을 놓아 사용하기도하고 , 일부는 용기 안팎으로 꺼내고 넣기 쉬운 플렉시 유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인큐베이터의 뚜껑용도로 폴리스티렌 폼으로 덮어야합니다.

welded wire fencing
수중히터를 이용한 인큐베이터

이런 종류의 인큐베이터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수중히터로 인해 물이 데워지고 습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대기의 온도도 유지해줍니다. 데워진 공기 속의 인큐베이터를 suspend 하는 방법만 개발하면 됩니다. 물론 핵심은 수중히터의 적절한 calibration입니다. 이를 위해선 먼저 빈 용기로 인큐베이터를 calibrate해야합니다. 만약 병아리 인큐베이터를 사용한다면 축축한 질석과 바닥에 작은 물그릇을 놓아야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