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효 숫자의 기본 규칙


 

바르게 보고된 측정값에서 0이 아닌 모든 숫자는 유효 숫자에 포함된다.

0은 유효 숫자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

 

  • 0이 아닌 숫자 사이에 있는 0은 유효 숫자이다.
    - 1005kg(유효 숫자 네 개), 7.03cm(유효 숫자 세 개)

 

  • 0이 아닌 첫 숫자 앞에 있는 0은 유효 숫자가 아니고, 단지 소수점의 위치를 나타낸다.
    - 0.02g(유효 숫자 한 개), 0.0026cm(유효 숫자 두 개)

 

  • 소수점을 가지고 있는 수에서, 0이 아닌 마지막 숫자 뒤에 있는 0은 유효숫자이다.
    - 0.0200g(유효 숫자 세 개), 3.0cm(유효 숫자 두 개)

 

그냥 맨 뒤에서 0이 안 나올 때까지 세자

 


표준 지수 표기법


 

소수점이 없는 수에서 뒤쪽에 있는 0은 보통 유효 숫자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기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유효 숫자가 네 개이지만 10,300g로 표기한다면 유효 숫자를 잘못 표기한 것이다.

 

이때 표준 지수 표기법을 사용하면 0이 유효 숫자인지 아닌지 알 수 있다.

 

1.03 × 10^4 g (유효 숫자 세 개)

 

1.030 × 10^4 g (유효 숫자 네 개)

 

1.0300 × 10^4 g (유효 숫자 다섯 개)

 

지수 10^4 는 유효 숫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계산에서의 유효 숫자


 

  • 더하기와 빼기

    -가장 적은 소수 자리를 가진 측정값과 같은 개수의 소수 자리를 가져야 한다.
    예) 20.42
      + 1.322
      + 83.1
      =104.842 소수 첫째 자리로 반올림(104,8)

  • 곱하기와 나누기
    -가장 적은 유효 숫자를 가진 측정값과 같은 개수의 유효 숫자를 가져야 한다.

    예) (6.221)(5.2) = 32.3492 → 32 로 반올림

  • 확정수
    -확정수는 무한대의 유효 숫자를 가진 것으로 간주한다.
    예) 단위 환산 시 숫자는 확정수

 


두 단계 이상의 계산에서의 유효 숫자


 

계산 과정이 두 단계 이상일 때, 즉 복잡한 계산일 때

  • 중간 계산 결과는 유효 숫자보다 적어도 한 자리 이상 더 가지도록 해야 한다.
    -반올림할 때 생기는 오차들이 합쳐지지 않아 최종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계산기를 사용한다면 수를 계속해서 입력한 후
    최종 결과에서만 반올림할 수도 있다. (계산 후 유효숫자를 맞추는 것) 

 

 

'흔한 생활 > 잡다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 무기 화합물 명명법  (0) 2020.05.09
반도체.  (0) 2020.05.01
반도체  (0) 2020.05.01
[생명과학] 세포호흡의 과정  (2) 2020.04.20
이온 전하량  (0) 2020.04.14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